### Date : 2024-08-17 21:55
### Topic : The Problem of Universals #ethics #metaphysics #philosophy
----
### 2.4 보편자의 문제 (The Problem of Universals)
보편자의 문제는 형이상학에서 오랜 시간 동안 논의되어 온 중요한 철학적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 문제는 구체적인 사물들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속성이나 특성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그리고 존재한다면 그것들이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다룹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빨간 사과가 있을 때, 이 사과들이 공유하는 "빨강"이라는 속성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지 우리의 개념적 도구에 불과한 것인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 **보편자란 무엇인가?**
- **보편자 (Universals)**: 보편자는 여러 개별 사물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속성이나 특성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빨강", "둥글다", "인간성" 등의 개념이 보편자에 해당합니다. 이 속성들은 여러 개별 사물들에 동시에 나타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보편자라고 불립니다.
- **개별자 (Particulars)**: 개별자는 특정한, 독특한 존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빨간 사과 하나가 개별자입니다. 이 개별자는 특정한 시공간에 존재하며, 다른 개별자와 구별됩니다.
#### **보편자의 문제에 대한 주요 관점**
1. **실재론 (Realism)**
- **정의**: 실재론은 보편자가 개별 사물들에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빨강"이라는 속성은 빨간 사과들에 의존하지 않고, 그 자체로 실재한다는 것입니다.
- **플라톤주의 (Platonism)**: 플라톤은 보편자가 "이데아" 또는 "형상"의 형태로 독립적인 세계에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빨간 물체는 "빨강"이라는 이데아의 불완전한 모사에 불과합니다. 이 이데아는 물질적 세계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영원하고 변하지 않는 진정한 실재입니다.
- **아리스토텔레스적 실재론 (Aristotelian Realism)**: 아리스토텔레스는 보편자가 개별 사물들 안에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빨강"이라는 보편자는 빨간 물체들 안에서만 존재하며, 독립적인 세계에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2. **명목론 (Nominalism)**
- **정의**: 명목론은 보편자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명목론에 따르면, 보편자는 단지 우리가 유사한 사물들을 묶어서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름이나 개념일 뿐입니다.
- **대표적 견해**: 윌리엄 오컴(William of Ockham)은 보편자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언어적 도구로서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빨강"이라는 개념은 빨간 사과들을 묶어 설명하기 위한 편리한 용어일 뿐, 독립적으로 실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3. **개념론 (Conceptualism)**
- **정의**: 개념론은 보편자가 우리의 마음 속에서 개념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보편자는 물리적 세계에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인간의 인식과 개념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봅니다.
- **대표적 견해**: 피에르 아벨라르(Pierre Abélard)는 보편자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사람들이 비슷한 개념들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소통할 수 있기 때문에 개념론이 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4. **트로프 이론 (Trope Theory)**
- **정의**: 트로프 이론은 보편자가 아닌 개별적 속성들, 즉 "트로프"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빨강"이라는 보편자는 존재하지 않으며, 개별 빨간 사과들 각각이 지닌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빨강" 속성들만이 존재합니다.
- **함의**: 트로프 이론에 따르면, 각 사과의 "빨강" 속성은 독립적이고 고유한 존재입니다. 여러 개의 빨간 사과들이 있다고 해서 이들이 동일한 "빨강" 속성을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각 사과는 자신만의 고유한 "빨강" 트로프를 지니고 있는 것입니다.
#### **보편자의 문제에 대한 주요 질문**
- **보편자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 보편자가 개별 사물들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가, 아니면 사물들 안에만 존재하는가?
- **보편자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개념의 산물인가?**
- 보편자가 단지 우리가 유사한 사물들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적, 개념적 도구에 불과한가?
- **보편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물들 사이의 유사성은 어떻게 설명되는가?**
- 만약 보편자가 실재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사물들이 동일한 속성을 가질 수 있는가? 사물들 사이의 유사성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 **결론:**
보편자의 문제는 형이상학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 사물들이 공유하는 속성이나 특성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그리고 존재한다면 그것들이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관점을 제공합니다. 실재론, 명목론, 개념론, 트로프 이론 등은 각각 보편자의 존재 방식에 대해 서로 다른 답변을 제시하며, 이 문제는 철학적 탐구에서 계속해서 논의되고 있는 주제입니다.
### Reference:
-
### Connected Documents:
-